6·3 대선을 일주일여 앞두고
페이지 정보
작성자 ajfoooo 댓글 0건 조회 3회 작성일 25-05-26 08:28본문
6·3 대선을 일주일여 앞두고 민심의 흐름이 거세게 흔들리고 있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여전히 선두지만,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가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며 그 뒤를 바짝 쫓고 있다.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도 두 자릿수 지지율에 진입하며 존재감을 키우는 모양새다.강원 민심도 이 같은 전국 판세와 맞물려 급류 속으로 들어섰다. 강원일보는 전국 대표 지역신문 협의체인 한국지방신문협회(강원일보, 경남신문, 경인일보, 광주일보, 대전일보, 매일신문, 부산일보, 전북일보, 제주일보)와 공동으로 전국 민심을 살펴봤다.이번 대선 사전투표를 나흘 앞둔 25일 강원도 유권자들의 마음은 여전히 ‘안갯속’이다. 대선 주자들의 지지율이 엎치락 뒤치락하며 접전을 벌이는 가운데, 춘천·원주·영동권 등 전략지역을 중심으로 민심도 술렁이고 있다. 각 당 선대위가 지지층 결집과 중도층 공략에 사활을 걸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유권자들이 판단을 유보하고 있다.■ 춘천·원주, ‘보수 텃밭’ 속 변화의 진원지=한때 보수의 안정적 지지 기반으로 불렸던 강원은, 2017년 대선을 기점으로 도심을 중심으로 표심 변화가 본격화됐다. 특히 춘천과 원주는 민주당 소속 자치단체장과 국회의원을 잇따라 배출하며 민주당의 전략적 거점으로 자리 잡은 지역이다. 하지만 최근 국민의힘도 공세를 강화하면서 두 도시는 어느 정당도 안심할 수 없는 격전지로 떠올랐다.각 당 선대위가 춘천과 원주를 ‘핵심 지역’으로 분류하고 공을 들이는 것도 이같은 이유에서다. 실제로 현장에선 엇갈린 여론을 확인할 수 있었다.지난 24일 춘천 명동에서 만난 직장인 김영호(46·춘천 석사동)씨는 “이번 선거는 그냥 여야 싸움이 아니라, 누가 민주주의를 지킬 수 있느냐를 보는 거라 생각한다”며 “내란 세력에 표를 주고 싶지 않다”고 강조했다. 반면 자영업자 정경희(58·원주 태장동)씨는 “이재명 후보는 도덕성 논란이 너무 많다. 사법 리스크도 걱정된다”며 “그래도 김문수 후보는 말조심도 하는 편이고, 이미지도 깔끔해서 그런 면에서는 더 신뢰가 간다”고 말했다. ■ “누굴 뽑으란 건지 모르겠다” 결정 못한 표심=강원 표심을 잡기 지난 23일 HD현대중공업 건조2부 선체1팀에서 일하는 내·외국인 근로자들이 선박 내부 설비 설치 작업을 마친 뒤 화기애애하게 셀카를 찍고 있다.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췄지만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우리 조선소는 대안으로 외국인 근로자의 실력을 기르고 빠르게 정착시키는 데 공을 들이고 있다. /HD현대중공업 지난 12일 오후 1시 30분쯤 HD현대중공업 울산 조선소의 한 교육장. 태국·스리랑카 등에서 온 외국인 근로자 약 50명이 펜을 들고 책상에 앉았다. 이들 앞에는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10분 시험’이라고 적힌 시험지가 놓였다. 시험지에는 현장 작업 도구 그림이 그려져 있고, 그 아래 1번부터 4번까지 단어 ‘피더기’ ‘캐리지’ ‘절단기’ ‘용접기’가 나열됐다. 도구 이름을 맞히는 문제다. 이 부서에서는 매달 두 번 자체적으로 이런 한국어 시험을 보고 있다.이뿐만 아니라 HD현대중공업은 작년 말 회사 차원의 한국어 시험인 ‘HD토픽’도 개발해 요즘 매달 시험을 치른다. 성적이 좋으면 외국인 근로자도 현장 관리직 등으로 ‘특진’할 수 있는 기회를 포상으로 내걸었다. 최근 치른 시험에서 500명 중 1등을 한 베트남인 고김해(31)씨는 “한국 드라마를 많이 보고 팀 동료들과도 한국 공부 모임도 만들었다”고 말했다. 그래픽=박상훈 최근 HD현대·한화오션·삼성중공업 등 ‘빅3′를 중심으로 K조선의 경쟁력이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조선 3사의 누적 수주 잔액이 올해 1분기(1~3월)에만 약 200조원에 달한다. 그러나 약한 고리가 있다. 우수한 인력 확보다. 최근 2~3년 새 호황이 본격화했지만, 그 전 약 10년간 침체를 겪으며 우수한 근로자들이 조선소를 대거 떠났다. 호황이 왔지만 용접·도장 등 고된 생산 작업이 많고, 주 52시간제 등으로 노동 강도에 비해 수입은 적다는 인식 탓에 새 인력 유입은 과거만 못하다.이 자리를 메우고 있는 게 외국인 근로자들이다. 작년 말 기준 빅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