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종로구
서울 종로구 광화문 네거리에서 직장인들이 출근길을 서두르고 있다. 2025.4.14/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 (서울=뉴스1) 박종홍 기자 = 퇴직연금 가입 직장인 중 원리금보장형 운용 비중이 높은 이유는 무관심 때문이 아니라 적립금을 안정적 자산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이라는 조사 결과가 17일 나왔다.한국경영자총협회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퇴직연금 가입 직장인 10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 직장인 퇴직연금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62.8%는 퇴직연금 적립금에 대해 '은퇴 후 인생을 위한 종잣돈으로써 가능한 안정적으로 관리돼야 한다'고 답했다.'적립금 일부는 투자를 위한 여윳돈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응답은 30.2%, '손실 위험에도 불구하고 높은 수익률을 위해 투자자금으로 적극 활용할 수 있다'는 응답은 7.0%였다.적립금 운용에 대한 직장인 관심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57.1%는 '관심은 있는데 어떻게 해야 할지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관심이 많고 잘 알고 있다'는 응답자는 33.6%를 차지했다. 10명 중 9명은 적립금 운용에 관심을 갖고 있는 셈이다. '관심도 없고 잘 알지도 못한다'는 응답은 9.3%에 그쳤다.경총은 "적립금 운용에 관심을 갖고 있다는 응답이 많은 만큼 가입자가 단지 무관심해서 원리금보장형으로 운용한다는 분석은 잘못됐다"며 "정보 부족 문제로 정책적 역량을 쏟는다면 지금보다 적극적인 적립금 운용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개인적으로 선호하는 적립금 운용 방법에서도 '안정투자형(저위험)' 선호도가 50.1%에 달했다. 응답자 22.5%는 '원리금 보장형(초저위험)', 21.2%는 '중립투자형(중위험)', 6.2%는 '적극투자형(고위험)'을 각각 선택했다.퇴직연금 수령 계획에 대해선 '일부는 일시금, 일부는 연금으로 받겠다'는 응답이 37.7%로 가장 높았다. '적립금 전부를 매달 연금으로 받겠다'는 응답이 32.3%, '적립금 전부를 일시금으로 받겠다'는 응답이 30.0%로 뒤를 이었다.퇴직연금 가입 직장인의 대부분은 퇴직연금 외 개인 재테크 수단을 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별도의 재테크 수단이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플로리다주에서 운영하는 케네디우주센터 전경. NASA 제공 미국 연방기관이 발간하는 대규모 기후변화 분석 보고서를 앞으로는 대중이 쉽게 접하지 못하도록 하는 조치가 내려졌다. 인간이 기후변화를 유발한다는 사실에 회의적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태도가 이번 조치의 배경이 됐다는 시각이 미 과학계 안팎에서 나온다.16일(현지시간) 미 과학계와 스페이스닷컴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미국 글로벌 변화 연구 프로그램(USGCRP)’이 발간하는 기후변화 보고서를 NASA 웹사이트에 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USGCRP는 NASA를 포함해 15개 미 연방기관이 구성한 연구 조직이다. 2000년대 초반부터 4~5년 주기로 미국 등 전 지구 단위의 기후변화 분석 보고서를 발간했다. 지금까지 5차례 나온 보고서에는 온난화, 식생 변화, 해수면 상승 등의 현상이 망라돼 있다.USGCRP는 지금까지 자신들의 전용 웹사이트에 보고서를 차곡차곡 수록해 놓았다. 그런데 돌연 지난 3일 해당 웹사이트가 폐쇄됐다. 미 백악관 조치였다. 당시 백악관은 NASA 웹사이트로 보고서가 옮겨질 것이라고 했지만, 2주 뒤 NASA는 그럴 계획이 없다고 한 것이다. NASA는 이날 현지 언론에 “보고서를 주관해서 공개할 법적 의무가 없다”고 밝혔다.NASA의 ‘말 바꾸기’를 두고 미 과학계에서는 USGCRP 보고서의 성격과 연관 있는 것 아니냐는 시선이 제기된다. 해당 보고서는 대중에게 기후변화 추세와 문제점을 보여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USGCRP는 대중이 보고서를 더 쉽게 이해하도록 각종 동영상과 팟캐스트 등도 전용 사이트에 함께 수록했다. 이런 보고서의 성격이 ‘인간의 기후변화 유발’이라는 사실에 회의적인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과는 배치된다는 것이다.NASA의 게재 거부로 앞으로는 USGCRP 보고서가 여러 연방기관 웹사이트에 흩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보고서를 읽고 싶다면 누구든지 일일이 인터넷 서핑을 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 ‘연구 수행’이라는 분명한 목적이 있는 전문가가 아니면 선뜻 하기 어려운 일이다. 기후변화를 심도 깊게 분석한 자료를 보통 사람이 쉽고 빠르게 접하기 어려워진 셈이다.올해 트럼프 대통령 집권 이후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과 환경보호청(EPA) 등에서도 기후변화 관련 예산과 인력
서울 종로구